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5

범죄의 기본 개념과 용어(구성요건해당성, 위법성, 책임, 친고죄, 반의사불벌죄, 소추조건, 신분범, 자수범) 안녕하세요 로우 컴퍼니입니다 오늘은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과 용어의 기본 개념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위법성, 책임, 친고죄, 반의사불벌죄 등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좀 더 정확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재미없는 내용들이죠? 그래도 여러분들이 뉴스 사건이나 인터넷 기사들을 이해할 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ㅎ 법죄의 성립요건 범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구성요건해당성, 위법성, 책임이 있어야 처벌할 수 있습니다 이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다면 범죄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구성요건해당성이란 내가 저지른 행동이 범죄를 구성하는 요건에 해당하여야 한다는 뜻으로 법조문에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새치기 행동은 나쁜 행동이지만 법조문에 처벌 규정이 없기 때문에 구성요건의 해당성이 없다고 표현을 합니다 위법.. 2023. 5. 28.
형법의 적용 범위, 형법 1조 1항, 형법 1조 2항, 범죄 후 법률의 변경, 재판 확정 후, 외국에서 집행된 형 안녕하세요 로우 컴퍼니입니다 오늘은 우리 형법이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적용이 되는지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만약에 여러분이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그 후에 법이 바뀐다면? 또는 죄를 범한 당시에는 무죄였는데 갑자기 처벌 규정이 생겼다면?? 외국에서 죄를 지었는데 그 나라에서는 무죄라면 어떻게 될까요?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ㅎ 제1조(범죄의 성립과 처벌) ① 범죄의 성립과 처벌은 행위 시의 법률에 따른다. 행위 시란 죄를 범한 당시의 법을 적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갑이 3월 2일에 절도를 하였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런데 갑이 절도를 할 당시에는 절도죄의 법정형이 벌금 500만원 이하였는데 4월 1일부터 절도죄의 법정형이 1000만원 이하로 바뀌었더라도 갑이 절도를 행한 당시의 법률이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 2023. 5. 26.
형법 죄형법정주의(법률주의, 소급효금지의원칙, 명확성의원칙, 유추해석금지의원칙, 명확성의원칙, 적정성의원칙) 안녕하세요 로우 컴퍼니입니다 제가 블로그를 시작한지 한 달 반 정도 되었는데 처음부터 지루한 이론이나 개념을 포스팅하면 방문자가 없을 것 같아서 어그로성 살인, 절도, 강도 등 흔한 범죄들로 시작을 하였습니다 오늘부터는 형법의 기본 개념들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미수론, 공범론, 죄수론 등 이러한 이론들을 형법 총론이라고 하며 살인죄, 강도죄, 폭행죄 등 죄명들을 다루는 파트를 형법각론이라고 합니다 원래는 총론을 먼저 하는 것이 형법을 이해하기가 더 쉽습니다 그렇다고 어려운 학설이나 이론들은 하지 않을 것이니 걱정은 하지 마세요 ㅎ 총론 또한 나름의 재미가 있습니다 죄형법정주의란? 죄형법정주의는 형법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입니다 범죄와 형벌을 법으로 정하자는 뜻으로 어떤 죄가 성립하고 어떤 형벌을 부과할지 .. 2023. 5. 23.
1. 형법의 생소한 죄(배임수증죄, 폭발물사용죄, 폭발성물건파열죄, 가스전기등, 일수죄, 교통방해죄) 안녕하세요 로우 컴퍼니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형법에 있는 생소한 죄명과 법조문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일상에서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죄가 되는지 조차도 알지 못하실 겁니다 물론 저도 잘 모르기 때문에 설명까지 하지는 않겠습니다ㅎ 잘 모르지만 이러한 죄들도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어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제357조(배임수증죄) ①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을 받고 재물 또는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제1항의 재물 또는 재산상 이익을 공여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③ 범인 또는 그 사정을 아는 제3자가 취득한 제1항.. 2023. 5. 21.
형법 권리행사 방해죄, 점유강취죄, 강제집행면탈죄, 형법 323조, 형법 325조, 형법 326조 안녕하세요 로우 컴퍼니입니다 오늘은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죄 법조문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아래 죄들은 자기의 물건에 대한 타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하거나 강제집행을 면할 목적으로 채권자를 해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범죄들이기 때문에 같은 장에 위치해 있습니다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는 죄는 아니므로 중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짧게 포스팅하겠습니다 제323조(권리행사방해) 타인의 점유 또는 권리의 목적이 된 자기의 물건 또는 전자기록등 특수매체기록을 취거, 은닉 또는 손괴하여 타인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권리행사방해죄는 타인이 점유하고 있거나 타인의 권리의 목적이 된 자기의 물건 또는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 등을 물건의 주인이 그 권리를 방해하는 것으로 성립.. 2023. 5. 19.
반응형